doom modeline을 설치한 김에 테마도 doom one으로 바꾸다
modeline을 doom modeline으로 바꾸니 2013년부터 사용해 지겨워진 solarized light 테마도 바꾸고 싶다. 밝은 테마를 오래 써서 이번엔 어두운 테마를 쓰고 싶다. doom modeline을 찾을 때, 같이 본 doom themes로 결정했다.
modeline을 doom modeline으로 바꾸니 2013년부터 사용해 지겨워진 solarized light 테마도 바꾸고 싶다. 밝은 테마를 오래 써서 이번엔 어두운 테마를 쓰고 싶다. doom modeline을 찾을 때, 같이 본 doom themes로 결정했다.
아이콘이 눈에 띈다. 화려하고 정보가 풍부하다. smart modeline에서 doom modeline으로 갈아탔다.
org mode를 9.1.9 버전에서 9.2.1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다. <#orgmode 최신 버전 사용하기> 글을 참고해 최신 버전으로 설치했다. emacs 26.1 버전에는 org mode 9.1.9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
vagrant@ubuntu-xenial:~$ sudo su root root@ubuntu-xenial:/home/vagrant# ls -la hello -rw-r--r-- 1 root root 6 Mar 23 23:29 hello root@ubuntu-xenial:/home/vag...
버퍼에서 클립보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다. evil-mode가 통하지 않는 미니버퍼에서 살아남으려면 익혀야 한다.
M-x shell
gnu emacs 다운로드 파일 이름 구성이 달라졌다. 의존 라이브러리 포함이 기본이 됐다. 64bit는 emacs-26.1-x86_64.zip 파일을 받으면 된다. emacs-26.1-x86_64-no-deps.zip 파일은 의존 라이브러리가 없는 파일이다.
emacs는 파일을 열어 수정하면 auto-save 파일을 만든다. # 문자로 귀마개(earmuffs)를 씌운다. foo 파일을 수정하고 있으면 #foo# 파일을 만든다.
<TRAMP로 원격 파일을 로컬 파일처럼 편집> 글은 쓰면서 macOS에서 테스트했다. windows에서 똑같이 테스트해봤다. windows에서 bash를 emacs shell로 사용하고 있어서 ssh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잘 되겠지?
RET 키 누르면 호출하는 org-return 함수는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다. 들여쓰기 안 하는 줄 바꿈을 쓸 일이 없다. RET 키 누르면 들여쓰기까지 해줬으면 좋겠다.
라이브러리 개인 설정은 어디에 둬야 할까? 라이브러리를 로드한 후에 두면 된다. 위치에 상관없이 정의하고 특정 라이브러리가 로드된 후에 실행할 수 있을까? 버전 컨트롤 안 하는 init.local.el 파일에 라이브러리 로드 후에 실행할 설정 파일을 추가하고 싶다.
merge request는 org todo로 만들어서 잘 쓰고 있다. merge request 단위로는 계속 읽고 있는데, 아쉽게도 이게 다가 아니다. master에 직접 push도 허용하고 있어서 연관된 merge request가 없는 커밋(commit)도 있다. 주로 아티스트 ...
<#orgmode org block 배경 색상> 바꾸면서 배웠다. emacs lisp에서 backquote를 처음 써봤다.
(custom-set-variables ;; custom-set-variables was added by Custom. ;; If you edit it by hand, you could mess it up, so be careful. ;; Your init file should c...
<#gitlab issue 또는 merge request의 링크와 제목 삽입하기> 글에서 짠 함수를 사용하려면 personal access tokens가 필요하다. github에 올려놓은 init.el 파일에 적어놓는 건 아닌 것 같다. id와 password를 공개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