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ill Build Your Prototype - Light Table을 만든 Chris Granger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
이런 persistent vector가 있다. 왜 persistent인가 하면 vector가 생성된 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4를 5로 바꾸고 싶다면 5를 생성해 간선(edge)으로 연결하고 4를 연결하는 간선을 제거한 새로운 vector를 생성해야 한다.
github에서 만든 채팅 봇. 단순한 채팅 봇이다. 그렇다고 무시해서는 곤란하다. github 문화를 지탱하는 큰 기둥 중 하나걸랑.
에디터에서 커브(curve)로 색 보정(color correction)을 할 수 있다. R, G, B, 휘도(luminance) 커브를 지원한다.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게 가장 큰 장점. 인터페이스도 아티스트에게 친숙한 커브다.
Readable은 가독성 구성요소를 쉽게 변경하면서 확인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는 서비스다. ohyecloudy.github.io/readable에서 결과물을 볼 수 있다.
GDC2010부터 시작해 4번째다. 이제는 안 하면 뭔가 찝찝하다. 공개된 발표자료만 보고 정리.
Building an army of robots by Kyle Neath. github 내부 툴을 소개한 발표자료. github 아저씨들은 발표자료 참 잘 만든다.